*김혜진-자정무렵
왜 '너'인가.
현재형 시제의 효과.
나-너-유리의 관계(화자의 성격과 역할)-트라이앵글 구성
유리는 어떤 사람인가. 마을연구소는 어떤 의미가 있나.
마을연구소 이야기는 적절한가.
나와 너의 이후. 어떻게 될까.
마지막 문장에 대하여. 누구에게 하는 말인가.
마지막 문장의 '우리의 밤'이라는 표현과 제목.
요즘 소설(?)에 대하여.(주제 불명확. 성별 모호. 관계 애매. 행동하지 않는 인물)
성인의 동거를 보는 시각(이성과 동성, 어떻게 다른가)
일본 영화 '그들이 진심으로 엮을 때'
*다와다 요코-용의자의 야간열차 중 첫번째 바퀴
다와다 요코 소개(1960년 일본 출생. 와세다 대학에서 러시아문학 전공. 23세에 독일로. 독일어와 일본어 2개 국어로 글쓰는 작가)
낭독 콘서트. 존 케이지 음악과 피아니스트.
다와다 요코와 최윤영 교수의 인터뷰, 엑소포니라는 책.
인칭에 대하여(일본과 독일의 다른 점)
어떤 호칭을 주로 쓰는지. 이름에 따라 달라지는 친밀감. 거부감.
시대와 문화, 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호칭(우리 이야기)
가라타니 고진과 신인상.
이 소설의 시점은 1인칭인가 2인칭인가(거울 보고 쓴 작품 같은)
화자의 성별을 밝히지 않는 것에 대하여.(답답 vs 자유로움)
소설 읽기의 목적. 이야기와 문장.
반응형
'소설,글쓰기강의 > 소설, 에세이,자서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직은 끝이 아니라고 한다 (0) | 2020.03.25 |
---|---|
[인천] 소설읽기+글쓰기(1) (0) | 2020.03.21 |
시작 (0) | 2020.03.10 |
글에 남긴 여러분의 의견은 개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