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 <달려라, 아비> 출연한 배우 이휴

1인문화예술공간(인천)
728x90
반응형

“내 생각과 비슷한,
나와 닮은 작품을 하고 싶어요”
-연극 <달려라, 아비> 출연한 배우 이휴



이휴는 부모님이 지어주신 이름이다. 아름다울 휴(烋)를 쓴다. 뮤지컬배우를 꿈꾸며 계원예고 연극영화과에 입학했고, 동국대에서도 연기를 전공했다. 어릴 때부터 발레를 했고, 노래에도 소질이 있어 연극뿐 아니라 뮤지컬 출연진에도 자주 이름을 올렸다.

연극이나 뮤지컬은 배우, 관객, 무대가 같은 시공간에 있는 약속의 예술이다. 조명과 음악, 무대 디자인, 소품 등이 바로 그 시간 그 자리를 위해 빛을 발한다.

Q ‘약속의 예술’이라는 표현이 신선하게 들려요.
A 제가 만든 언어는 아니에요. 무대 공연을 그렇게 부르는 경우가 많아요. 연극과 뮤지컬은 정해진 시간에 단 한 번 공연되잖아요. 관객들도 언제, 어디서, 무엇을 하는지 알고(‘약속’을 믿고) 그 자리에 참석하고요. 그런 점 때문에 공연예술에 매혹됐고 여전히 그래요. 하지만 내년에는 영화나 드라마 같은 매체에도 도전해볼 생각이에요.

Q 자신의 대표작을 소개한다면요.
A 정말 많은데 음... 아무래도 최근작을 말씀드리는 게 낫겠네요. 대학로 드림아트센터에서 한 뮤지컬 <무인도 탈출기>와 충무아트센터 대극장에서 한 <그날들>이 기억에 남아요.

Q <달려라, 아비>는 어떻게 출연하게 되셨어요?
A 김가람 연출가와는 이전에도 연극과 뮤지컬을 한 적이 있어요. “널 염두에 두고 썼다”고 말한 작품도 있었고요. 이번 연극은 정영주 선배가 먼저 캐스팅됐고, 선배님의 에너지를 맞출 수 있는 배우를 찾았대요. 정영주라는 사람의 열정적인 에너지에 뒤지지 않고 따라올 수 있는 사람이 필요했던 거예요. 엄마와 딸로 소통하면서도 치우침 없이 팽팽하게 맞설 수 있는 배우를 고민하다가 감사하게도 저를 떠올리셨다고 해요. 그렇게 정영주 선배님의 딸로 캐스팅되었어요.

Q 저는 정영주 배우를 브라운관에서 본 게 다인데 ‘에너지가 넘친다’는 인상이 정확하다는 생각이 들어요. 씩씩해 보인다고 할까요.
A 한 마디로 압도적이에요. 시원시원하고 털털하시죠. “정영주 선배님 홀릭”이라고 할까, 이번에 완전히 빠져들었어요. 공연하면서 많은 선배들을 만났지만 이런 선배가 되고 싶다는 생각을 한 건 처음이에요. 무대 위에서나 카메라 앞에서 만나는 모습 외에도 인간적으로 배우고 느낄 점이 참 많아요. 정영주 선배님의 생각들, 사람들을 대하는 태도, 저에게 말씀하실 때 느껴지는 진솔함... 하나부터 열까지 전부 눈여겨보고, 새겨둘 만한 것들로 가득합니다.

Q 이휴 배우가 얼마나 반했는지 진심이 전해집니다.
A 극에서 엄마와 딸이 친구처럼 지내잖아요. 정영주 선배님과 저도 친구처럼 지냈어요. 선배님이 집에 초대해 밥을 해주시기도 했고요. 제가 애교는 많아도 때로 무뚝뚝하고, 표현에 서툴거든요. 선배님에게 제 마음을 전하지 못했는데 이 자리를 빌려서 하고 있네요. 잘 전달이 됐나요?(웃음)

Q <달려라, 아비>는 김애란 작가의 단편소설이고 소설에는 1인칭 ‘나’가 이야기를 풀어갑니다. 딸의 시점에서 이야기를 서술하고 있어 소설에서는 굳이 자기 이름을 밝힐 필요가 없었죠. 반면 연극에서는 엄마가 딸을 “애란이”라고 부르더라고요. 작가와 주인공의 이름을 동일시한 점이 흥미로웠어요.
A 정영주 선배님의 의견이었어요. 대본에 딸 이름이 없었는데 그럼 애란이로 가는 게 어떻겠냐고 하셨죠. 엄마 성을 붙여서 조애란. 조자옥 딸 조애란. 소수의 배우들이 출연하고 연출가님도 배우들이 자유롭게 아이디어를 낼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주었기 때문에 유쾌하게 여러 가지 제안을 할 수 있었어요. 제가 편지를 펼치면 팝업카드처럼 음악이 나오는 장면도 그렇게 탄생했고요. 정말 즐겁게 연습했습니다.

Q 힘든 점도 있었겠죠?
A 힘들었죠. 달리는 장면이 많은데 또 대사도 엄청나서 뛰랴, 허들 넘으랴, 대사하랴 쉽지 않은 역할이긴 했어요. 연습할 때는 부분 부분을 반복해야 하고, 뛰면서 하는 대사는 숨을 참아야만 내뱉을 수 있거든요. 그게 너무 고단한 거예요. 격한 춤을 추면서 노래하는 가수들은 제 심정을 이해할 거예요. 계속 달리고, 쉬지 않고 대사를 치다가 이러다 쓰러져서 죽는 거 아닐까 생각한 적도 있다니까요. 아, 한 번 기절하듯 쓰러진 적도 있네요.
제가 극을 이끄는 중심인물이라서 다른 두 배우를 배려하지 못하면(혹은 이동이나 동작을 정확히 계산하지 않으면) 딸의 모습만 도드라지게 되거든요. 제 기분대로, 감정대로 하는 게 아닌 디테일을 예민하게 생각해야 해서 뭔가 쫄린다는 느낌이 들기도 했어요.(웃음)
그런데 힘들어서 싫다는 느낌이 아니라 “힘들다=즐겁다”랄까? 힘들었지만 즐거웠어요. 흠뻑 땀에 젖거나 열심히 달려서 숨이 턱까지 차올랐을 때 느껴지는 쾌락 있잖아요?

Q 러너스 하이(Runner’s high)요? 뛰면 뛸수록 힘든 게 아니라 어느새 팔다리가 가벼워지면서 새로운 힘이 생긴다고 하는.
A 맞아요. 비슷한 것 같아요.

Q 작품 속 엄마, 아빠에 대한 인상은 어떤가요. 실제 이휴 배우의 부모님과 비교한다면?
A 딸이 유머러스하고 상상력이 풍부한데 그런 성격을 엄마한테 물려받은 것 같더라고요. 숨기거나 피하지 않고 딸에게 모든 걸 말해주는 엄마가 감탄스러웠어요. 스스럼없고 솔직하잖아요. 유쾌한 엄마의 모습은 실제 우리 엄마와 비슷해요. 가족 중에서 제일 재미있는 분이 우리 엄마예요.


Q 연습할 때의 에피소드나 다른 배우들과의 케미는 어땠나요?
A 장두환 배우는 아버지, 미국에 사는 아들, 할아버지 등으로 1인 다역을 했는데요, ‘깨발랄’까지는 아니지만 분위기 메이커예요. 미국에 살고 있는 아들의 시그니처 오브제로 요요를 하기로 하고, 그걸 할 때 외로움이 드러나는 걸 컨셉트로 잡았거든요. 두환이가 처음에는 요요를 전혀 못 했는데 대본 보는 시간보다 요요 하는 시간이 더 많더니 나중에는 선수급으로 잘하더라고요. 연습할 때는 탄성이 나올 정도였는데 ‘런스루’(마지막 예행 연습) 때 너무 중요한 씬에서 실수를 하는 거예요. 그 장면이 제가 무대 한 편에서 조용히 울고 있는 것과 겹치는데 두환이 때문에 웃겨서 연습이 중단된 적이 있어요. 울다 웃었던 그때가 떠오르네요.

Q 작품에 사용된 영상효과는 특별히 어떤 의미를 갖나요?
A 작품마다 연출 콘셉트가 있어요. 어떤 작품은 화려한 조명을 내세우고, 어떤 작품에서는 레이저로 글씨를 쓰며 임팩트를 주고요. <달려라, 아비>에서는 딸의 상상을 애니메이션 영상으로 구현했어요. 귀엽고 아기자기한 느낌으로요. 결말 부분에 딸이 상상을 그만두자 영상이 전부 사라지면서 ‘진짜’ 화분이 놓이고, ‘진짜’ 눈이 내리고, ‘진짜’ 거울이 나타나요. 엄마와 딸의 얼굴이 담긴 액자도 선반에 올려지고요. 제가 연출가는 아니지만 실재와 이미지의 다름, 그 격차에서 오는 감동을 전하기 위해 영상이 사용됐다고 보시면 돼요.

Q 마지막으로 어떤 배우가 되고 싶다, 또는 앞으로의 꿈이 있다면요.
A 낭독극에서는 주연을 많이 맡았지만 연극에서 메인이 된 건 이번이 처음이에요. 해야 할 몫을 했다는 느낌도 들고, 뭔가 많이 채운 듯한 기분도 들어요. 늘 즐겁게 공연하자고 생각했는데 올해 이 작품을 준비하면서 세상에 메시지를 전하는, 내 생각을 전달하는 배우가 되고 싶은 욕심이 생겼어요. 아직은 어떤 메시지인지 모르지만 좀 더 ‘나’로 가득한 사람이 되고 싶어요. 책을 즐겨 읽는 편이 아닌데 <달려라, 아비>를 계기로 소설에 관심을 갖게 됐고, 이번 겨울부터 열심히 읽어보려고요. 좀 더 단단해져서 나와 닮은 작품을 선택하고 싶고, 내 생각과 비슷한 작품을 골라 작품이 곧 내가 되는 결과물을 보여드리고 싶어요.
<달려라, 아비>가 이번 가을로 끝나지 않고 꾸준히 사랑받아서 이 작품 또한 ‘제 공연’이 됐으면 합니다. 많이 사랑해 주세요.

 

728x90
반응형

이미지 맵

이_재은

1인문화예술공간(운영자 이재은) 글쓰기및소설강좌문의 dimfgogo@gmail.com

    '작가의일상/인터뷰랑 전시리뷰랑' 카테고리의 다른 글